2 λΆ„ μ†Œμš”

λ°±μ€€ μ‚¬μ΄νŠΈ 링크

문제

μƒλ‹΄μ›μœΌλ‘œ μΌν•˜κ³  μžˆλŠ” λ°±μ€€μ΄λŠ” 퇴사λ₯Ό ν•˜λ €κ³  ν•œλ‹€.

μ˜€λŠ˜λΆ€ν„° N+1일째 λ˜λŠ” λ‚  퇴사λ₯Ό ν•˜κΈ° μœ„ν•΄μ„œ, 남은 N일 λ™μ•ˆ μ΅œλŒ€ν•œ λ§Žμ€ 상담을 ν•˜λ €κ³  ν•œλ‹€.

λ°±μ€€μ΄λŠ” λΉ„μ„œμ—κ²Œ μ΅œλŒ€ν•œ λ§Žμ€ 상담을 작으라고 뢀탁을 ν–ˆκ³ , λΉ„μ„œλŠ” ν•˜λ£¨μ— ν•˜λ‚˜μ”© μ„œλ‘œ λ‹€λ₯Έ μ‚¬λžŒμ˜ 상담을 μž‘μ•„λ†“μ•˜λ‹€.

각각의 상담은 상담을 μ™„λ£Œν•˜λŠ”λ° κ±Έλ¦¬λŠ” κΈ°κ°„ Ti와 상담을 ν–ˆμ„ λ•Œ 받을 수 μžˆλŠ” κΈˆμ•‘ Pi둜 이루어져 μžˆλ‹€.

N = 7인 κ²½μš°μ— λ‹€μŒκ³Ό 같은 상담 μΌμ •ν‘œλ₯Ό 보자.

 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
Ti 3 5 1 1 2 4 2
Pi 10 20 10 20 15 40 200

1일에 μž‘ν˜€μžˆλŠ” 상담은 총 3일이 걸리며, μƒλ‹΄ν–ˆμ„ λ•Œ 받을 수 μžˆλŠ” κΈˆμ•‘μ€ 10이닀. 5일에 μž‘ν˜€μžˆλŠ” 상담은 총 2일이 걸리며, 받을 수 μžˆλŠ” κΈˆμ•‘μ€ 15이닀.

상담을 ν•˜λŠ”λ° ν•„μš”ν•œ 기간은 1일보닀 클 수 있기 λ•Œλ¬Έμ—, λͺ¨λ“  상담을 ν•  μˆ˜λŠ” μ—†λ‹€. 예λ₯Ό λ“€μ–΄μ„œ 1일에 상담을 ν•˜κ²Œ 되면, 2일, 3일에 μžˆλŠ” 상담은 ν•  수 μ—†κ²Œ λœλ‹€. 2일에 μžˆλŠ” 상담을 ν•˜κ²Œ 되면, 3, 4, 5, 6일에 μž‘ν˜€μžˆλŠ” 상담은 ν•  수 μ—†λ‹€.

λ˜ν•œ, N+1μΌμ§Έμ—λŠ” νšŒμ‚¬μ— μ—†κΈ° λ•Œλ¬Έμ—, 6, 7일에 μžˆλŠ” 상담을 ν•  수 μ—†λ‹€.

퇴사 전에 ν•  수 μžˆλŠ” μƒλ‹΄μ˜ μ΅œλŒ€ 이읡은 1일, 4일, 5일에 μžˆλŠ” 상담을 ν•˜λŠ” 것이며, μ΄λ•Œμ˜ 이읡은 10+20+15=45이닀.

상담을 적절히 ν–ˆμ„ λ•Œ, 백쀀이가 얻을 수 μžˆλŠ” μ΅œλŒ€ μˆ˜μ΅μ„ κ΅¬ν•˜λŠ” ν”„λ‘œκ·Έλž¨μ„ μž‘μ„±ν•˜μ‹œμ˜€.

μž…λ ₯

첫째 쀄에 N (1 ≀ N ≀ 15)이 주어진닀.

λ‘˜μ§Έ 쀄뢀터 N개의 쀄에 Ti와 Piκ°€ 곡백으둜 κ΅¬λΆ„λ˜μ–΄μ„œ 주어지며, 1일뢀터 NμΌκΉŒμ§€ μˆœμ„œλŒ€λ‘œ 주어진닀. (1 ≀ Ti ≀ 5, 1 ≀ Pi ≀ 1,000)

좜λ ₯

첫째 쀄에 백쀀이가 얻을 수 μžˆλŠ” μ΅œλŒ€ 이읡을 좜λ ₯ν•œλ‹€.

예제 μž…λ ₯ 1

7
3 10
5 20
1 10
1 20
2 15
4 40
2 200

예제 좜λ ₯ 1

45

예제 μž…λ ₯ 2

10
1 1
1 2
1 3
1 4
1 5
1 6
1 7
1 8
1 9
1 10

예제 좜λ ₯ 2

55

풀이

  1. DP ν…Œμ΄λΈ” μ •μ˜: DP[i]λŠ” i번째 λ‚ λΆ€ν„° 퇴사할 λ•ŒκΉŒμ§€ 얻을 수 μžˆλŠ” μ΅œλŒ€ 이읡을 μ €μž₯ν•œλ‹€.
  2. DP ν…Œμ΄λΈ” μ΄ˆκΈ°ν™”: λ§ˆμ§€λ§‰ 날인 n+1일의 이읡은 0
  3. DP 점화식: DP[i]λŠ” i번째 날에 일을 ν•˜λŠ” κ²½μš°μ™€ 일을 ν•˜μ§€ μ•ŠλŠ” 경우 μ€‘μ—μ„œ 더 큰 값이 λœλ‹€.
    • i번째 날에 상담을 ν•  수 μ—†λŠ” 경우: DP[i] = DP[i+1]
    • i번째 날에 상담을 ν•  수 μžˆλŠ” 경우: DP[i] = max(P[i] + DP[i + T[i]], DP[i+1])
  4. κ²°κ³Ό 좜λ ₯: DP[1]을 좜λ ₯ν•œλ‹€.

μ½”λ“œ

ver(1)
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
# μž…λ ₯ λ°›κΈ°
n = int(input())
k = [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
# dp ν…Œμ΄λΈ” μ΄ˆκΈ°ν™”
dp = [0] *(n+1)

# λ’€μ—μ„œλΆ€ν„° dp 진행
for i in range(n-1,-1,-1):
    if i + k[i][0] > n: # 인덱슀 λ²”μœ„λ₯Ό μ΄ˆκ³Όν•˜λŠ” 경우, ν˜„μž¬ μœ„μΉ˜μ˜ 값은 λ‹€μŒ κ°’μœΌλ‘œ μ—…λ°μ΄νŠΈ
        dp[i] = dp[i+1]
    else: # 인덱슀 λ²”μœ„ 내에 μžˆλŠ” 경우, 뒀에 μžˆλŠ” κ°’λ“€κ³Ό ν˜„μž¬ μœ„μΉ˜μ˜ 값을 λΉ„κ΅ν•΄μ„œ μ΅œλŒ€κ°’μ„ μ €μž₯
        dp[i] = max(dp[i+1], k[i][1] + dp[i + k[i][0]])

# dp ν…Œμ΄λΈ”μ—μ„œ μ΅œλŒ€κ°’ 좜λ ₯
print(max(dp))

λŒ“κΈ€λ‚¨κΈ°κΈ°